본문 바로가기

공무원시험 정보/7급공무원 채용.합격선 통계자료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일반행정직), 전국 : 장애

SMALL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일반행정직), 전국 : 장애

 

 

아래 내용은 국가직7급 직렬중 일반행정직으로, 여러 공무원 직렬중 대표적이고 가장 많이 채용을 하는 직렬입니다.

일반행정직, 전국 : 장애 채용에 대해 통계자료를 올려드리겠습니다.

 

 

[1] 채용인원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17

20

20

20

18

국가직급 일반행정직 시험 장애직렬 중 매년 꾸준히 일정인원을 채용하는 직렬이 일반행정직으로, 해마다 약 20여명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매년 채용하는 직렬은 미리 다음연도 시험 준비하는데는 좋으나, 그만큼 응시인원도 많음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2] 접수인원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17

20

20

20

18

접수인원

775

517

558

544

264

 

2017년도 응시인원이 절반가량이 줄어든 모습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2017년도부터 시험과목중 영어과목이 '영어능력 검정시험(토익,토플,텝스,지텔프,플렉스 등)으로 대체된 게 가장 큰 원인이 아닐까 판단됩니다. 여기서 영어능력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수험생은, 9급으로 하향지원 할 수밖에 없습니다.

※ 7급과 달리 9급채용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채용하고 있습니다. 일반과 장애로만 구분되지 않고 저소득층, 고교졸업자, 또 전국과 지역모집 등 채용방식이 7급에 비해 공직기회의 폭이 더 넓습니다. 한편 공무원 시험중에도, 공무원 준비를 포기하고 일반기업체로 입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9급 공무원시험은 갈수록 치열해 질 수밖에 없음을 아셔야 합니다.  또한 2017년도부터는 '통신·정보처리 및 사무관리분야 자격증 소지자의 공통적용 가산점'제도가 폐지되어, 앞으로는 지금보다도  필기 한문제 한문제가 매우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3] 접수 및 필기응시현황, 접수대비 필기응시율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17

20

20

20

18

접수인원(명)

775

517

558

544

264

필기응시인원(명)

479

283

307

287

133

필기시험 응시율

61.8%

54.7%

55.0%

52.8%

50.4%

 

운영자는 IMF를 겪었던 사람으로 우리나라 경제가 어려우면 어려울수록, 또 미래에 대한 고용불안 등에 따라 정년보장이 되는 안정적인 직장을 선택하기 위해 우수인재들이 몰리는 곳이 공무원시험입니다.  처음 공무원 시험 준비를 시작하고 끝까지 시험에 응시하는 수험생은 약 60%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우수인재들이 몰려도 과락자가 상당히 많음을, 준비단계부터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 아셔야 합니다.

[4] 채용인원 대비 필기시험접수인원 경쟁률

     전년도 대비 2017년에는 응시인원이 줄어들었으니, 경쟁률 또한 당연히 내려갈 수밖에 없습니다. 2017년 기준으로 경쟁률은 15:1입니다.

 

[5] 채용인원 및 필기합격인원

 2017년은 아직 필기시험 발표 이전이라서 데이터를 수록하지 못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채용인원 기준, 필기시험 합격자는 120~140%정도가 필기시험을 통과합니다.

 

[6] 최종합격인원 및 여성합격자 비교

해당 그래프는 양성평등제를 시행하고 있어, 이에 따라 최종합격인원 대비하여 여성합격자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여성, 남성간 합격자 비율 그래프입니다.

 

[7] 여성/남성 합격자 비율

 

최종합격자 비율은 일반행정직 전국:일반과 달리 장애직렬은 남성합격비율이 더 높습니다.  남성수험생이 합격할 비율은 80%이상입니다.

 

 

[8] 합격선

  2017년 합격선은 12월경에 최종합격자 발표 무렵에 알 수 있기 때문에, 최종합격자 통계가 발표되면 수정해 드리겠습니다.

 

[9] 필기시험 점수분포도(3개년, 2014~2016년)

 

 

연도

95이상

90이상

~95미만

85이상

~90미만

80이상

~85미만

75이상

~80미만

70이상

~75미만

65이상

~70미만

60이상

~65미만

55이상

~60미만

50이상

~55미만

50미만

비고

(과락자)

2014년

0

0

0

6

14

13

13

8

4

7

5

213

2015년

0

0

1

2

4

9

13

15

6

5

3

249

2016년

0

0

0

2

8

10

10

9

5

4

0

239

2017년

 

 

 

 

 

 

 

 

 

2016년도만 살펴보겠습니다.  접수인원은 544명이었고, 이 중에서 필기응시한 수험생은 287명이었습니다. (필기경쟁률 27.2:1)

필기응시한 수험생이 287명인데, 이 중에서 과락자가 239명이었습니다. 필기응시자 중에서 약 83%가 과락을 받았습니다. 제가 운영하는 카페나 블로그에 방문하시는 수험생께서는, 제가 늘 말씀드렸듯이 경쟁률에 미리 겁을 먹고 포기하지 말고...필기성적 70점 이상이 되도록 피나는 노력을 하시라는 점을 말씀을 드립니다.

 

[10] 최종합격자 연령분포도(3개년, 2014~2016년)

 

연도

20~22세

23~27세

28~32세

33~39세

40세 이상

2014년

1

6

7

3

3

2015년

2

8

8

2

1

2016년

1

12

6

1

1

2017년

 

 

 

상기 표와 그래프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합격자의 70~80%가 23~32세입니다.  이 나이 때가 대학시절을 어떻게 보냈느냐에 따라서  본인이 목표한 공무원시험에 합격하느냐가 판가름이 날 것입니다.  미래에 대한 목표를 공직자로 세웠다면, 힘들고 지치더라도 끝까지 최선을 다하셔서 뜻하신 공직자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