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 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6~2017년, 2개년) - 행정직(인사조직), 전국 : 일반
아래 내용은 국가직7급 공무원 중 행정직의 인사조직 직렬로, 전국 일반 채용입니다.
참고로 인사조직 장애직렬은 채용이 없었습니다.
[1] 채용인원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미 |
시 |
행 |
10 |
5 |
채용인원은 상기표와 같이 작년(2016년)에는 10명을 금년(2017년)에는 5명입니다만...
작년부터 채용하고 있어서 매년 채용할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2] 접수인원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 |
- |
- |
10 |
5 |
접수인원 |
- |
- |
- |
2,894 |
1,831 |
5개년 데이터가 없기에, 작년과 비교할 수밖에 없군요~
작년과 비교하면 채용인원은 절반 줄어들었으며, 작년대비 약 1,000명이 줄었습니다.
[3] 접수 및 필기응시현황, 접수대비 필기응시율
구 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
|
|
10 |
5 |
접수인원(명) |
미 |
시 |
행 |
2,894 |
1,831 |
필기응시인원(명) |
|
|
|
1,504 |
906 |
필기시험 응시율 |
|
|
|
52.0% |
49.5% |
국가직7급 시험은 대체로 국가직9급보다는 응시율이 저조합니다.
응시율이 절반가량이므로, 미리 겁먹지 마시길...!!
필기응시율이 50%라고 하더라도 최종 합격자 점수를 보면 과락자가 또 절반가량 되기 때문에, 이 점을 알고 오로지 합격선이 들어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꼭 기억해 두시면 되겠습니다.
[4] 채용인원 대비 필기시험접수인원 경쟁률
전년도보다 2017년에는 채용인원이 절반으로 줄어들었으니, 당연히 경쟁률은 올라갈 수밖에 없겠지요~
이를 표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구 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
|
|
10 |
5 |
접수인원(명) |
미 |
시 |
행 |
2,894 |
1,831 |
필기응시인원(명) |
|
|
|
1,504 |
906 |
경쟁률(접수/채용) |
|
|
|
289.4:1 |
366.2:1 |
[5] 채용인원 및 필기합격인원
전년도는 채용인원대비 필기합격인원은 130%정도였으나, 금년(2017년)에는 120%인 6명이 필기를 합격하였습니다.
면접에서 당락이 결정될 수 있으니, 남은 기간 준비 잘하셔서 면접까지 통과하시길 기원합니다.
[6] 최종합격인원 및 여성합격자 비교
해당 그래프는 양성평등제를 시행하고 있어, 이에 따라 최종합격인원 대비하여 여성합격자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구 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
|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
|
|
10 |
5 |
필기합격인원(명) |
미 |
시 |
행 |
2,894 |
1,831 |
최종합격인원(명) |
|
|
|
1,504 |
906 |
여성합격인원(명) |
|
|
|
5 |
미발표 |
여성비율 |
|
|
|
50.0% |
미발표 |
전년도에는 여성과 남성 절반씩 합격하였습니다만, 금년에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7] 여성/남성 합격자 비율
[8] 합격선
구 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
|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미 |
시 |
행 |
10 |
5 |
최종합격인원(명) |
|
|
|
10 |
미발표 |
합격선 |
|
|
|
86.21 (지방) 86.00 |
85.83 |
전년도는 86.21점이고 지방인재는 86.00점이었습니다. 금년에는 85.83점이 합격선이었습니다.
[9] 필기시험 점수분포도(3개년, 2014~2016년)
필기응시자의 점수분포도입니다.
연도 |
필기 응시 인원 |
95이상 |
90이상 ~95미만 |
85이상 ~90미만 |
80이상 ~85미만 |
75이상 ~80미만 |
70이상 ~75미만 |
65이상 ~70미만 |
60이상 ~65미만 |
55이상 ~60미만 |
50이상 ~55미만 |
50미만 |
비고 (과락자) |
2016년 |
1,504 |
0 |
3 |
18 |
47 |
100 |
152 |
174 |
144 |
73 |
41 |
4 |
748 |
2017년 |
906 |
|
|
|
미 |
|
발 |
|
표 |
|
|
|
|
2016년도를 살펴보면,
채용인원 10명, 접수인원은 2,894명이었고, 이 중에서 필기응시한 수험생은 1,504명이었습니다. (필기경쟁률 289.4:1)
필기응시한 수험생이 1,504명인데, 이 중에서 과락자가 748명이었습니다. 필기응시자 중에서 약 50%가 과락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결과론으로 설명을 드리면, 과락자를 제외하면 필기응시인원(1,504명)-과락자(748명)=306명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2016년 경쟁률은 289.4:1이지만, 필기응시자중 과락자를 제외하면 306명으로 하면 30.6:1입니다.
즉 289.4:1 이 30.6:1 로 대폭 줄어들게 되며,과락자를 제외한 필기응시자 중에서 상위 3% 이내에 들어야 필기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 통과가 매우 어렵습니다. 다만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표면상의 경쟁률에 연연해 하지 마시고, 상위 3% 이내에 들 수 있도록 피나는 노력을 하시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10] 최종합격자 연령분포도(3개년, 2014~2016년)
연도 |
20~22세 |
23~27세 |
28~32세 |
33~39세 |
40세 이상 |
2016년 |
0 |
7 |
2 |
0 |
1 |
2017년 |
|
미 |
발 |
표 |
|
상기 표와 그래프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합격자의 90%가 23~32세입니다.
저도 40대이지만 40세 이상 합격하려면, 20~30대보다 몇배는 더 노력해야 합니다.
공직자가 되기 위해 젊은 시기에 뛰어든만큼 열공하셔서 뜻한바를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공무원시험 정보 > 7급공무원 채용.합격선 통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세무), 전국 : 일반 (0) | 2017.11.06 |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선거행정), 전국 : 일반 (0) | 2017.10.30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6~2017년, 2개년) - 행정직(회계), 전국 : 일반 (0) | 2017.10.29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교육행정직), 전국 : 장애 (0) | 2017.10.23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교육행정), 전국 : 일반 (0) | 2017.10.18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우정사업본부), 전국 : 일반 (0) | 2017.10.09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일반행정직), 전국 : 장애 (0) | 2017.10.08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일반행정직), 전국 : 일반 (0) | 2017.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