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시험 정보/7급공무원 채용.합격선 통계자료

국가직 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6~2017년, 2개년) - 행정직(인사조직), 전국 : 일반

SMALL

 

 

  국가직 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6~2017년, 2개년) - 행정직(인사조직), 전국 : 일반

 

 

아래 내용은 국가직7급 공무원 중 행정직의 인사조직 직렬로, 전국 일반 채용입니다.

참고로 인사조직 장애직렬은 채용이 없었습니다.

 

[1] 채용인원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10

5

 

   채용인원은 상기표와 같이 작년(2016년)에는 10명을 금년(2017년)에는 5명입니다만...

   작년부터 채용하고 있어서 매년 채용할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2] 접수인원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

-

-

10

5

접수인원

-

-

-

2,894

1,831

 

   5개년 데이터가 없기에, 작년과 비교할 수밖에 없군요~

   작년과 비교하면 채용인원은 절반 줄어들었으며, 작년대비 약 1,000명이 줄었습니다.

 

[3] 접수 및 필기응시현황, 접수대비 필기응시율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10

5

접수인원(명)

2,894

1,831

필기응시인원(명)

 

 

 

1,504

906

필기시험 응시율

 

 

 

52.0%

49.5%

 

    국가직7급 시험은 대체로 국가직9급보다는 응시율이 저조합니다.

    응시율이 절반가량이므로, 미리 겁먹지 마시길...!!

    필기응시율이 50%라고 하더라도 최종 합격자 점수를 보면 과락자가 또 절반가량 되기 때문에, 이 점을 알고 오로지 합격선이 들어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꼭 기억해 두시면 되겠습니다.

 

[4] 채용인원 대비 필기시험접수인원 경쟁률

 

     전년도보다 2017년에는 채용인원이 절반으로 줄어들었으니, 당연히 경쟁률은 올라갈 수밖에 없겠지요~

     이를 표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10

5

접수인원(명)

2,894

1,831

필기응시인원(명)

 

 

 

1,504

906

경쟁률(접수/채용)

 

 

 

289.4:1

366.2:1

 

 

 

 

 

[5] 채용인원 및 필기합격인원

 

   전년도는 채용인원대비 필기합격인원은 130%정도였으나, 금년(2017년)에는 120%인 6명이 필기를 합격하였습니다.

   면접에서 당락이 결정될 수 있으니, 남은 기간 준비 잘하셔서 면접까지 통과하시길 기원합니다.

 

 

 

[6] 최종합격인원 및 여성합격자 비교

 

     해당 그래프는 양성평등제를 시행하고 있어, 이에 따라 최종합격인원 대비하여 여성합격자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10

5

필기합격인원(명)

2,894

1,831

최종합격인원(명)

 

 

 

1,504

906

여성합격인원(명)

 

 

 

5

미발표

여성비율

 

 

 

50.0%

미발표

 

 

    전년도에는 여성과 남성 절반씩 합격하였습니다만, 금년에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7] 여성/남성 합격자 비율

 

[8] 합격선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10

5

최종합격인원(명)

 

 

 

10

미발표

합격선

 

 

 

86.21

(지방) 86.00

85.83

 

 

     전년도는 86.21점이고 지방인재는 86.00점이었습니다. 금년에는 85.83점이 합격선이었습니다.

 

 

[9] 필기시험 점수분포도(3개년, 2014~2016년)

      필기응시자의 점수분포도입니다.

 

연도

필기

응시

인원

95이상

90이상

~95미만

85이상

~90미만

80이상

~85미만

75이상

~80미만

70이상

~75미만

65이상

~70미만

60이상

~65미만

55이상

~60미만

50이상

~55미만

50미만

비고

(과락자)

2016년

1,504

0

3

18

47

100

152

174

144

73

41

4

748

2017년

906

 

 

 

 

 

 

 

 

 

 

    2016년도를 살펴보면,

   채용인원 10명, 접수인원은 2,894명이었고, 이 중에서 필기응시한 수험생은 1,504명이었습니다. (필기경쟁률 289.4:1)

   필기응시한 수험생이 1,504명인데, 이 중에서 과락자가 748명이었습니다. 필기응시자 중에서 약 50%가 과락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결과론으로 설명을 드리면, 과락자를 제외하면 필기응시인원(1,504명)-과락자(748명)=306명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2016년 경쟁률은 289.4:1이지만, 필기응시자중 과락자를 제외하면 306명으로 하면 30.6:1입니다.

 

   즉 289.4:1 이 30.6:1 로 대폭 줄어들게 되며,과락자를 제외한 필기응시자 중에서 상위 3% 이내에 들어야 필기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 통과가 매우 어렵습니다. 다만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표면상의 경쟁률에 연연해 하지 마시고, 상위 3% 이내에 들 수 있도록 피나는 노력을 하시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10] 최종합격자 연령분포도(3개년, 2014~2016년)

연도

20~22세

23~27세

28~32세

33~39세

40세 이상

2016년

0

7

2

0

1

2017년

 

 

    상기 표와 그래프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합격자의 90%가 23~32세입니다.

    저도 40대이지만 40세 이상 합격하려면, 20~30대보다 몇배는 더 노력해야 합니다.

    공직자가 되기 위해 젊은 시기에 뛰어든만큼 열공하셔서 뜻한바를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