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공무원 수험정보/7급공무원 채용.합격선 통계자료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교육행정), 전국 : 일반

SMALL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교육행정), 전국 : 일반

 

 

아래 내용은 국가직7급 공무원 중  교육행정직으로, 전국 일반 채용입니다.   9급 교행직은 국가직 뿐만 아니라 지방교육청에서 채용하고 있으나, 7급의 경우는 국가직 공무원 채용만 있다보니 매년 채용하지만 경쟁률이 높은 직렬 중 하나입니다.

 

 

[1] 채용인원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2

6

13

13

9

 

채용인원은 상기표와 같이 매년 다른 양상입니다. 많이 채용할 때는 13명이었고, 적을 경우에는 2명이었습니다.

 

[2] 접수인원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2

6

13

13

9

접수인원

2,270

1,774

2,151

2,296

1,365

 

 채용인원이 9명임에도 접수인원이 많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2017년도부터 시험제도가 바뀐 후(컴퓨터관련 자격증 가산점 제도 및 필기시험중 영어시험이 영어능력시험으로 대체) 첫시행이다보니 영어능력시험에 따라 접수인원이 줄어들었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내년(2018년)부터는 점차적으로 인원이 증가하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3] 접수 및 필기응시현황, 접수대비 필기응시율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2

6

13

13

9

접수인원(명)

2,270

1,774

2,151

2,296

1,365

필기응시인원(명)

1,304

767

968

1,072

638

필기시험 응시율

57.4%

43.2%

45.0%

46.7%

46.7%

 

국가직7급 시험은 대체로 국가직9급보다는 응시율이 저조합니다.   응시율이 절반가량이므로, 미리 겁먹지 마시길...!!

필기응시율이 50%라고 하더라도 최종 합격자 점수를 보면 과락자가 또 절반가량 되기 때문에, 이 점을 알고 오로지 합격선에 들어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꼭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4] 채용인원 대비 필기시험접수인원 경쟁률

 

전년도보다 2017년에는 채용인원이 절반으로 줄어들었으니, 당연히 경쟁률은 올라갈 수밖에 없겠지요~  이를 표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2

6

13

13

9

접수인원(명)

2,270

1,774

2,151

2,296

1,365

필기응시인원(명)

1,304

767

968

1,072

638

경쟁률(접수/채용)

1135.1:1

295.7:1

165.5:1

176.6:1

151.7:1

 

[5] 채용인원 및 필기합격인원

단순 숫자상으로 채용인원대비 필기합격인원은 적게는 123%에서 많게는 150%정도였습니다.   다만 채용인원대비 필기합격인원이 많다면, 당연히 면접에서 당락이 결정될 수 있으니 남은 기간 준비 잘하셔야 최종합격 되실 수 있습니다.

 

[6] 최종합격인원 및 여성합격자 비교

 

해당 그래프는 양성평등제를 시행하고 있어, 이에 따라 최종합격인원 대비하여 여성합격자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2

6

13

13

9

필기합격인원(명)

3

7

18

16

13

최종합격인원(명)

2

6

13

13

미발표

여성합격인원(명)

2

3

4

7

미발표

여성비율

100.0%

50.0%

30.8%

53.8%

미발표

 

 

[7] 여성/남성 합격자 비율

 

 

 

[8] 합격선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2

6

13

13

9

최종합격인원(명)

2

6

13

13

미발표

합격선

81.42

84.28

76.71

80.71

78.33

 

 

전년도는 80.71점이고 금년에는 78.33점이 합격선이었습니다. 시험난이도 및 수험생 노력에 따라 필기성적 달라지겠으나, 대체로 80점은 넘어야 합격확률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9] 필기시험 점수분포도(3개년, 2014~2016년)

 

 

필기응시자의 점수분포도입니다.

 

연도

필기

응시

인원

95이상

90이상

~95미만

85이상

~90미만

80이상

~85미만

75이상

~80미만

70이상

~75미만

65이상

~70미만

60이상

~65미만

55이상

~60미만

50이상

~55미만

50미만

비고

(과락자)

2014년

767

0

0

5

13

35

41

34

37

24

11

3

564

2015년

968

0

0

2

5

24

38

50

50

29

20

3

747

2016년

1,072

0

1

3

14

34

52

62

60

62

19

2

763

 

 

2016년도를 살펴보면,  채용인원 13명, 접수인원은 2,296명이었고, 이 중에서 필기응시한 수험생은 1,072명이었습니다. (필기경쟁률 176.6:1)

필기응시한 수험생이 1,072명인데, 이 중에서 과락자가 763명이었습니다. 필기응시자 중에서 약 71.1%가 과락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결과론으로 설명을 드리면, 과락자를 제외하면 필기응시인원(1,072명)-과락자(763명)=309명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2016년 경쟁률은 176.6:1이지만, 필기응시자중 과락자를 제외하면 309명으로 하면 23.8:1입니다.

 

즉 176.6:1 이 23.8:1 로 대폭 줄어들게 되며,과락자를 제외한 필기응시자 중에서 상위 3~4% 이내에 들어야 필기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나라 우수인재들이 공무원시험에 몰려도, 필기응시자의 절반 이상이 과락임을 알고 덤비셔야 합니다. 국가직7급 시험에 목표를 잡고 2~3년 피나는 노력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필기합격을 못했거나, 혹 과락이 나왔다면 과감히 9급으로 전향하셨으면 합니다.  

 

 

[10] 최종합격자 연령분포도(3개년, 2014~2016년)

 

 

 

 

 

연도

20~22세

23~27세

28~32세

33~39세

40세 이상

2014년

0

3

1

1

1

2015년

0

3

4

2

4

2016년

2

6

3

2

0

2017년

 

 

 

 

 

상기 표와 그래프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합격자의 90%가 23~32세입니다.   저도 40대 후반이지만 40세 이상 합격하려면, 20~30대보다 몇배는 더 노력해야 합니다.  공직자가 되기 위해 젊은 시기에 뛰어든만큼 열공하셔서 뜻한바를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