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6~2017년, 2개년) - 행정직(회계), 전국 : 일반
아래 내용은 국가직7급 행정직렬 중에서 회계직렬 통계자료입니다. 장애직렬의 경우는 2013~2017년 사이에 2015년도 한번 1명을 채용하였으나, 모두 과락이 나와 합격자가 없었습니다. 장애직렬은 따로 올려드리지 않고, 일반만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채용인원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10 |
7 |
10 |
5 |
5 |
국가직 행정직(회계) 7급은 매년 채용하는 직렬이지만, 일반행정직이 아닌 이렇게 정해진 직렬은 많이 채용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매년 채용하는 직렬이니만큼 회계직에 관심이 있으신 수험생께서는 미리 준비하는게 좋습니다. 상기 표와 그래프에서 보듯, 인원이 적을 때는 5명에서 많을 때는 10명 정도입니다. 2016년도 회계직렬 합격자는 기획재정부에 2명, 방위사업처에 2명, 미래창조과학부에 1명이 임용되었습니다.
[2] 접수인원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10 |
7 |
10 |
5 |
5 |
접수인원 |
229 |
306 |
355 |
208 |
225 |
소수인원을 채용하다보니 일반행정직과 달리 매년 일정하게 시험에 응시하고 있음이 특징입니다. 회계직 선택시 경쟁자는 250명 정도로 생각하시되, 그동안 제가 올린 글을 훑어보신 수험생은 잘 아시겠지만 필기응시는 50% 정도이고, 필기응시한 수험생 중에서 과락자가 70%정도라는 점을 알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3] 접수 및 필기응시현황, 접수대비 필기응시율
구 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10 |
7 |
10 |
5 |
5 |
접수인원(명) |
229 |
306 |
355 |
208 |
225 |
필기응시인원(명) |
129 |
157 |
192 |
98 |
118 |
필기시험 응시율 |
56.3% |
51.3% |
54.1% |
47.1% |
52.4% |
상기 표에서 살펴보듯 처음 공무원 시험 준비를 시작하고 끝까지 시험에 응시하는 수험생은 절반가량 밖에 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우수인재들이 공무원시험에 도전을 하여도 과락자가 상당히 많음을, 준비단계부터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 아셔야
하구요. 또한 발표되는 경쟁률에 미리 주눅들지 않기를 바랍니다.
[4] 채용인원 대비 필기시험접수인원 경쟁률
그래프와 표를 보면 2013년도에 경쟁률이 작다보니 2014년도에는 채용인원이 적음에도 오히려 접수인원이 더 늘어났습니다.
아무래도 합격선 근방에 있는 수험생인 경우는, 합격하기 위해 필기접수부터 눈치가 참으로 치열합니다.
하지만 2017년도부터는 아무래도 회계직 전공자가 응시하느니만큼 앞으로는 경쟁률이 크게 요동치기보다는 비슷한 경쟁률을
보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구 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10 |
7 |
10 |
5 |
5 |
접수인원(명) |
229 |
306 |
355 |
208 |
225 |
필기응시인원(명) |
129 |
157 |
192 |
98 |
118 |
경쟁률(접수/채용) |
22.9:1 |
43.7:1 |
35.5:1 |
41.6:1 |
45.0:1 |
[5] 채용인원 및 필기합격인원
채용예정인원에 비해 필기합격인원은 보통 130~140%선에서 결정이 됩니다. 특히 회계직, 세무직, 토목직, 건축직 등은 타직렬보다도 더욱 더 공무원으로의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한 직렬입니다. 어쨌든 금년도 역시 140%인 7명이 필기시험을 통과했습니다.
[6] 최종합격인원 및 여성합격자 비교
해당 그래프는 양성평등제를 시행하고 있어, 이에 따라 최종합격인원 대비하여 여성합격자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구 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10 |
7 |
10 |
5 |
5 |
필기합격인원(명) |
14 |
8 |
13 |
7 |
7 |
최종합격인원(명) |
11 |
7 |
12 |
5 |
미발표 |
여성합격인원(명) |
3 |
1 |
2 |
3 |
미발표 |
여성비율 |
27.3% |
14.3% |
16.7% |
60.0% |
미발표 |
공무원 시험 합격자 비율을 보면, 많은 직렬에서 여성 파워가 상당히 쎕니다. 2016년 전후로 남성보다는 여성 수험생이 더 합격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10명 이상 채용인 경우는 양성평등제(채용인원이 5명 이상) 뿐만 아니라 지방인재채용목표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7] 여성/남성 합격자 비율
[8] 합격선
2017년 12월경에 최종합격자 통계가 발표되면, 아래 미발표 내용은 수정해 드리겠습니다.
구 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필기시험일 |
2013.06.22 |
2014.07.26 |
2015.08.29 |
2016.08.27 |
2017.08.26 |
채용인원(명) |
10 |
7 |
10 |
5 |
5 |
최종합격인원(명) |
11 |
7 |
12 |
5 |
미발표 |
합격선 |
67.14 |
76.00 |
75.28 (지방) 73.57 (양성) 75.00 |
70.00 |
77.50 |
[9] 필기시험 점수분포도(3개년, 2014~2016년)
필기응시자의 점수분포도입니다.
연도 |
필기 응시 인원 |
95이상 |
90이상 ~95미만 |
85이상 ~90미만 |
80이상 ~85미만 |
75이상 ~80미만 |
70이상 ~75미만 |
65이상 ~70미만 |
60이상 ~65미만 |
55이상 ~60미만 |
50이상 ~55미만 |
50미만 |
비고 (과락자) |
2014년 |
157 |
0 |
0 |
0 |
5 |
5 |
8 |
13 |
5 |
5 |
0 |
2 |
114 |
2015년 |
192 |
0 |
0 |
0 |
1 |
11 |
14 |
11 |
15 |
10 |
2 |
0 |
128 |
2016년 |
98 |
0 |
0 |
0 |
0 |
1 |
6 |
2 |
4 |
7 |
2 |
0 |
76 |
2017년 |
118 |
|
|
|
|
미 |
발 |
표 |
|
|
|
|
|
매년 시험 난이도가 다르지만 2018년도를 준비한다면 75.0점 이상은 나와야 필기합격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년(2017년)에는 77.50점이 필기합격선이었습니다.
자~ 그럼 2016년도를 살펴보겠습니다.
채용인원 5명, 접수인원은 208명이었고, 이 중에서 필기응시한 수험생은 98명이었습니다. (필기경쟁률 41.6:1)
필기응시한 수험생이 98명인데, 이 중에서 과락자가 76명이었습니다. 필기응시자 중에서 약 78%가 과락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결과론으로 설명을 드리면, 과락자를 제외하면 필기응시인원(98명)-과락자(76명)=22명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2016년 경쟁률은 41.6:1이지만, 필기응시자중 과락자를 제외한 22명으로 하면 4.4:1입니다.
즉 4.4:1 정도로 대폭 줄어듭니다. 실제 경쟁률이 약 4:1이므로, 해볼만 하지 않겠습니까???
우리 카페 및 제 블로그를 방문하는 수험생께서는 경쟁률 보다는, 제가 말씀드린 마지노선 75.0점 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이
더 중요함을 잊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10] 최종합격자 연령분포도(3개년, 2014~2016년)
연도 |
20~22세 |
23~27세 |
28~32세 |
33~39세 |
40세 이상 |
2014년 |
0 |
3 |
2 |
2 |
0 |
2015년 |
0 |
3 |
8 |
1 |
0 |
2016년 |
0 |
2 |
3 |
0 |
0 |
2017년 |
|
미 |
발 |
표 |
|
상기 표와 그래프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합격자의 70~80%이상이 23~32세입니다. 이 나이 때가 대학시절을 어떻게 보냈느냐에 따라서 본인이 목표한 공무원시험에 합격하느냐가 판가름이 날 것입니다. 미래에 대한 목표를 공직자로 세웠다면, 힘들고 지치더라도 끝까지 최선을 다하셔서 뜻하신 공직자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구)공무원 수험정보 > 7급공무원 채용.합격선 통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세무), 전국 : 일반 (0) | 2017.11.06 |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선거행정), 전국 : 일반 (0) | 2017.10.30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교육행정직), 전국 : 장애 (0) | 2017.10.23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교육행정), 전국 : 일반 (0) | 2017.10.18 |
국가직 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6~2017년, 2개년) - 행정직(인사조직), 전국 : 일반 (0) | 2017.10.17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우정사업본부), 전국 : 일반 (0) | 2017.10.09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일반행정직), 전국 : 장애 (0) | 2017.10.08 |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일반행정직), 전국 : 일반 (0) | 2017.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