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공무원 수험정보/7급공무원 채용.합격선 통계자료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세무), 전국 : 일반

SMALL

 

 

 

 

 

  

국가직7급 공무원 통계자료(2013~2017년, 5개년) - 행정직(세무), 전국 : 일반

 

아래 내용은 매년 채용하는 국가직7급 직렬 중 행정직(세무직)입니다.   세무직, 전국 : 일반 채용에 대해 통계자료를 올려드리겠습니다.

 

 

[1] 채용인원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76

135

160

278

107

 

    국세청 및 전국세무서에서 근무하는 국가직 행정직(세무) 7급은 매년 채용하는 채용규모가 큰 직렬입니다.   이렇게 매년 채용하는 직렬은 미리 준비하기는 좋습니다만, 직렬이 전문직렬이니만큼 전공자가 응시하느니만큼 만만치 않은 직렬중 하나입니다.

    매년 채용인원이 100여명이 넘습니다. 금년(2017년)에는 다소 적은 107명이 채용되었습니다.  

 

[2] 접수인원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76

135

160

278

107

접수인원

5,479

5,523

6,369

7,833

5,664

   많이 채용했던 2016년에 비해 인원이 2천명 정도 줄었습니다만...의미를 두기는 곤란합니다.   2017년과 비슷한 인원이 채용된 2014년도와 비교하면 아시겠지만, 접수인원은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렵습니다.  일반행정직의 경우는 기술직 전공자가 전공을 포기하고, 일반행정직으로 시험을 보는 경우도 많기에 접수인원 변동이 좀 있겠습니다만...세무직의 경우는 아무래도 전공자가 시험에 응시하다보니 그러한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금년(2017년)은 영어과목이 영어능력시험으로 대체되었으나, 세무직의 경우는 그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세무직을 준비하시는 세무직 수험생께서는 늘 일정한 접수인원(5500명 이상)이 있다고 판단함이 옳다고 판단됩니다. 지방직 7급 시험의 경우는 공통자격증(워드프로세서, 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에 대한 가산점이 있으나, 국가직 7급 시험에서는 폐지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내년 준비하시는 수험생께서는 이러한 자격증 가산점보다는 필기과목에서 실수를 하지 않도록 모의고사 등을 활용함이 좋겠습니다.

   한편 아쉽게도 세무사 자격증을 취득한 합격자 비율이 발표되지 않아, 세무사 자격증 소지자가 어느 정도 합격하는지 알지 못함이 조금 아쉬운 점입니다.

 

[3] 접수 및 필기응시현황, 접수대비 필기응시율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76

135

160

278

107

접수인원(명)

5,479

5,523

6,369

7,833

5,664

필기응시인원(명)

3,342

3,216

3,810

4,962

3,532

필기시험 응시율

61.0%

58.2%

59.8%

63.3%

62.4%

    상기 표에서 보면 아시겠지만, 필기접수인원에서 약 60%정도가 필기시험에 응시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설명을 드리겠지만, 세무전공자도 공무원시험에 응시하면 필기응시인원중에서 과락자가 70%가 넘게 나옵니다.  전공과목도 과락이 많이 나옵니다. 신기하죠? 공무원시험 보시면 아십니다. 매우 어렵습니다. 

 

 

 

 

 

[4] 채용인원 대비 필기시험접수인원 경쟁률

 

    이를 표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76

135

160

278

107

접수인원(명)

5,479

5,523

6,369

7,833

5,664

필기응시인원(명)

3,342

3,216

3,810

4,962

3,532

경쟁률(접수/채용)

72.1:1

40.9:1

39.8:1

28.2:1

52.9:1

 

[5] 채용인원 및 필기합격인원

 

일반적으로 채용인원 기준, 필기시험 합격자는 130%정도가 필기시험을 통과합니다.

 

[6] 최종합격인원 및 여성합격자 비교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76

135

160

278

107

필기합격인원(명)

95

169

215

352

136

최종합격인원(명)

76

137

175

298

미발표

여성합격인원(명)

26

48

62

108

미발표

여성비율

34.2%

35.0%

35.4%

36.2%

미발표

 

 

양성평등제와 지역인재추천 제도가 시행되고 있어서 발표된 통계자료입니다. 세무직은 여성보다는 남성비율이 약 65%정도로

합격비율이 더 높습니다. 

 

 

 

 

[7] 여성/남성 합격자 비율

[8] 합격선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필기시험일

2013.06.22

2014.07.26

2015.08.29

2016.08.27

2017.08.26

채용인원(명)

76

135

160

278

107

최종합격인원(명)

76

137

175

298

미발표

합격선

75.00

76.00

71.92

(지방) 70.28

72.64

(지방) 71.92

미발표

 

[9] 필기시험 점수분포도(3개년, 2014~2016년)

필기응시자의 점수분포도입니다.

 

연도

필기

응시

인원

95이상

90이상

~95미만

85이상

~90미만

80이상

~85미만

75이상

~80미만

70이상

~75미만

65이상

~70미만

60이상

~65미만

55이상

~60미만

50이상

~55미만

50미만

비고

(과락자)

2014년

3,216

0

2

12

52

122

185

173

162

93

44

7

2,364

2015년

3,810

0

0

3

30

85

160

220

207

154

73

23

2,855

2016년

4,962

0

2

17

67

143

250

335

329

203

100

16

3,500

2017년

3,532

 

 

 

 

 

 

 

 

 

 

2016년도만 살펴보겠습니다.  채용인원 278명, 접수인원은 7,833명이었고, 이 중에서 필기응시한 수험생은 4,962명이었습니다. (필기경쟁률 28.2:1)

필기응시한 수험생이 4,962명인데, 이 중에서 과락자가 3,500명이었습니다. 필기응시자 중에서 약 70%가 과락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결과론으로 설명을 드리면, 과락자를 제외하면 필기응시인원(4,962명)-과락자(3,500명)=1,462명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2016년 경쟁률은 28.2:1이지만, 필기응시자중 과락자를 제외한 1,462명으로 하면 5.3:1입니다. 즉 5.3:1 정도로 대폭 줄어듭니다.  따라서 우리가 필기접수한 후 표면에 나타난 경쟁률에 주눅 들지 마시구요.

   그렇다고 약 5:1이라는 작은(?)경쟁률에 안도하진 마세요. 전공자들끼리 붙은 시험임에도 과락자가 70%가 넘었다는 것은 그만큼 공무원 시험이 어렵다는 반증이 되기 때문입니다.  경쟁률에 지나치게 연연하지 마시고, 처음 공무원 시험 준비시 마음가짐을 끝까지 지켜서 최종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10] 최종합격자 연령분포도(3개년, 2014~2016년)

연도

20~22세

23~27세

28~32세

33~39세

40세 이상

2014년

3

47

46

34

7

2015년

9

64

59

35

8

2016년

6

149

81

46

16

2017년

 

 

상기 표와 그래프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23세~39세까지 골고루 분포되고 있습니다. 세무직7급 시험에 합격하시면 훗날 세무사 시험 볼 때, 1차면제 및 2차 부분면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세무직7급 준비하시는 회원님께서는 열심히 하셔서 무조건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LIST